CS5.5 Master Collection 시스템 요구 사항

Windows

  • Intel® Pentium® 4 또는 AMD Athlon® 64 프로세서 (Intel Core™ i3, i5 또는 i7 또는 AMD Phenom® II 권장), Intel Core 2 Duo 또는 AMD Phenom II 필요(Adobe Premiere Pro용), 64비트를 지원하는 프로세서(Adobe Premiere® Pro 및 After Effects®용)
  • Microsoft® Windows® XP 서비스 팩 3; Windows Vista® Home Premium, Business, Ultimate 또는 Enterprise 서비스 팩 1(서비스 팩 2 권장); 또는 Windows 7; 64비트 Windows Vista 또는 Windows 7 필요(Adobe Premiere Pro, After Effects, 및 마스터 컬렉션의 구독판용)
  • 2GB RAM(4GB 이상 권장)
  • 설치를 위한 24.3GB의 사용 가능한 하드 디스크 공간. 설치하는 동안 추가 여유 공간 필요(이동식 플래시 저장 장치에는 설치할 수 없음)
  • 1280x900 디스플레이(1280x1024 권장) - 정품 하드웨어 가속 OpenGL 그래픽 카드, 16비트 컬러 및 256MB VRAM
  • Adobe Premiere Pro의 GPU 가속 성능을 위한 Adobe 인증 GPU 카드. 지원되는 카드의 최신 목록은 www.adobe.com/go/premiere_systemreqs_kr에서 확인하십시오.
  • Adobe Photoshop®의 일부 GPU 가속 기능에는 Shader Model 3.0 및 OpenGL 2.0에 대한 그래픽 지원 필요
  • Adobe Bridge의 일부 기능은 64MB VRAM 이상의 DirectX 9 가능 그래픽 카드에 의존
  • 압축된 비디오 형식 편집을 위한 7200RPM 하드 드라이브, 압축되지 않은 비디오 형식 편집을 위한 RAID 0
  • SD/HD 작업 과정의 경우 캡처 및 테이프로 내보내기를 위한 Adobe 인증 카드
  • DV 및 HDV 캡처, 테이프로 내보내기 및 DV 장치로 전송을 위한 OHCI 호환 IEEE 1394 포트
  • ASIO 프로토콜 또는 Microsoft Windows Driver Model과 호환되는 사운드 카드
  • 이중 레이어 DVD(DVD 굽기를 위한 DVD+-R 버너, 블루레이 디스크 미디어 생성을 위한 블루레이 버너)와 호환되는 DVD-ROM 드라이브
  • Java™ Runtime Environment 1.6(포함됨)
  • 플러그인 설치 시 Eclipse™ 3.6.1 필요
  • QuickTime 및 멀티미디어 기능에 QuickTime 9 소프트웨어 필요
  • SWF 파일을 내보내고 SWF 파일로 내보낸 DVD 프로젝트를 재생하려면 Adobe Flash® Player 10 소프트웨어 필요
  •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고 Subscription Edition(적용되는 경우)의 유효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려면 광대역 인터넷 연결 필요*

Mac OS

  • 64비트를 지원하는 멀티코어 Intel® 프로세서
  • Mac OS X v10.5.8 또는 v10.6, Adobe Flash® Builder™ 4.5 Premium 및 Flash Builder를 Flash Catalyst 및 Flash Professional과 함께 통합하기 위해 Mac OS X v10.6, Adobe Premiere® Pro에서 GPU 가속 성능을 위해 Mac OS X v10.6.3 필요
  • 2GB RAM(4GB 이상 권장)
  • 설치를 위한 26.3GB의 사용 가능한 하드 디스크 공간. 설치하는 동안 추가 여유 공간 필요(대/소문자 구분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볼륨 또는 이동식 플래시 저장 장치에는 설치할 수 없음)
  • 1280x900 디스플레이(1280x1024 권장) - 정품 하드웨어 가속 OpenGL 그래픽 카드, 16비트 컬러 및 256MB VRAM
  • Adobe Premiere Pro의 GPU 가속화 성능에 대한 Adobe 인증 GPU 카드
  • Adobe Photoshop의 일부 GPU 가속 기능에는 Shader Model 3.0 및 OpenGL 2.0 그래픽 지원 필요
  • 압축된 비디오 형식 편집을 위한 7200RPM 하드 드라이브, 압축되지 않은 비디오 형식 편집을 위한 RAID 0
  • Core Audio 호환 사운드 카드
  • 이중 레이어 DVD(DVD 굽기를 위한 SuperDrive, 블루레이 디스크 미디어 생성을 위한 외장 블루레이 버너)와 호환되는 DVD-ROM 드라이브
  • Java™ Runtime Environment 1.6
  • 플러그인 설치 시 Eclipse™ 3.6.1 Cocoa 버전 필요
  • QuickTime 및 멀티미디어 기능에 QuickTime 9 소프트웨어 필요
  • SWF 파일을 내보내고 SWF 파일로 내보낸 DVD 프로젝트를 재생하려면 Adobe Flash® Player 10 소프트웨어 필요
  •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고 Subscription Edition(적용되는 경우)의 유효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려면 광대역 인터넷 연결 필요*

CS5 Master Collection 시스템 요구 사항

Windows

  • Intel® Pentium® 4 또는 AMD Athlon® 64 프로세서 (Intel Core™2 Duo 또는 AMD Phenom® II 권장); Intel Core 2 Duo 또는 AMD Phenom II 필요(Adobe® Premiere® Pro용)
  • Adobe Premiere Pro 및 After Effects®에 64비트 지원 프로세서 필요
  • Microsoft® Windows® XP 서비스 팩 3, Windows Vista® Home Premium, Business, Ultimate 또는 Enterprise 서비스 팩 1(서비스 팩 2 권장) 또는 Windows 7
  • Adobe Premiere Pro 및 After Effects에 64비트 버전의 Windows Vista 또는 Windows 7 필요
  • 2GB RAM(4GB 이상 권장)
  • 설치를 위한 24.3GB의 사용 가능한 하드 디스크 공간. 설치하는 동안 추가 여유 공간 필요(이동식 플래시 기반 저장 장치에는 설치할 수 없음)
  • 1280x900 디스플레이(1280x1024 권장) - 정품 하드웨어 가속 OpenGL 비디오 카드, 16비트 컬러 및 256MB VRAM
  • Adobe Premiere Pro의 GPU 가속화 성능에 대한 Adobe 인증 GPU 카드. 지원되는 카드에 대한 최신 목록이 필요하면 Adobe Premiere Pro 시스템 요구 사항을 참조하십시오.
  • Adobe Photoshop® Extended의 일부 GPU 가속 기능에는 Shader Model 3.0 및 OpenGL 2.0에 대한 그래픽 지원 필요
  • Adobe Bridge의 일부 기능은 64MB VRAM 이상의 DirectX 9 가능 비디오 카드에 의존
  • 압축된 비디오 형식 편집을 위한 7200RPM 하드 드라이브, 압축되지 않은 비디오 형식 편집을 위한 RAID 0
  • SD/HD 작업 과정의 경우 캡처 및 테이프로 내보내기를 위한 Adobe 인증 카드
  • DV 및 HDV 캡처, 테이프로 내보내기 및 DV 장치로 전송을 위한 OHCI 호환 IEEE 1394 포트
  • ASIO 프로토콜 또는 Microsoft Windows Driver Model과 호환되는 사운드 카드
  • 이중 레이어 DVD(DVD 굽기를 위한 DVD+-R 버너, 블루레이 디스크 미디어 생성을 위한 블루레이 버너)와 호환되는 DVD-ROM 드라이브
  • Java™ Runtime Environment 1.6(포함됨)
  • QuickTime 및 멀티미디어 기능에 QuickTime 7.6.2 소프트웨어 필요
  • SWF 파일을 내보내고 SWF 파일로 내보낸 DVD 프로젝트를 재생하려면 Adobe Flash® Player 10 소프트웨어 필요
  • 온라인 서비스 이용 시 광대역 인터넷 연결 필요*

Mac OS

  • 64비트 지원 멀티코어 Intel 프로세서
  • Adobe Premiere Pro의 GPU 가속 성능을 위해 Mac OS X v10.5.7 또는 v10.6.3; Mac OS X v10.6.3 필요
  • 2GB RAM(4GB 이상 권장)
  • 설치를 위한 26.3GB의 사용 가능한 하드 디스크 공간. 설치하는 동안 추가 여유 공간 필요(대/소문자 구분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볼륨 또는 이동식 플래시 기반 저장 장치에는 설치할 수 없음)
  • 1280x900 디스플레이(1280x1024 권장) - 정품 하드웨어 가속 OpenGL 비디오 카드, 16비트 컬러 및 256MB VRAM
  • Adobe Premiere Pro의 GPU 가속화 성능에 대한 Adobe 인증 GPU 카드. 지원되는 카드에 대한 최신 목록이 필요하면 Adobe Premiere Pro 시스템 요구 사항을 참조하십시오.
  • Adobe Photoshop의 일부 GPU 가속 기능에는 Shader Model 3.0 및 OpenGL 2.0 그래픽 지원 필요
  • 압축된 비디오 형식 편집을 위한 7200RPM 하드 드라이브, 압축되지 않은 비디오 형식 편집을 위한 RAID 0
  • Core Audio 호환 사운드 카드
  • 이중 레이어 DVD(DVD 굽기를 위한 SuperDrive, 블루레이 디스크 미디어 생성을 위한 외장 블루레이 버너)와 호환되는 DVD-ROM 드라이브
  • Java Runtime Environment 1.5 또는 1.6
  • QuickTime 및 멀티미디어 기능에 QuickTime 7.6.2 소프트웨어 필요
  • SWF 파일을 내보내고 SWF 파일로 내보낸 DVD 프로젝트를 재생하려면 Adobe Flash Player 10 소프트웨어 필요
  • 온라인 서비스 이용 시 광대역 인터넷 연결 필요*

*고속 인터넷 연결을 사용하는 경우 이 제품은 온라인으로 호스팅되는 특정 기능("온라인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와 일부 관련 기능은 모든 국가에서 모든 언어로 이용하거나 모든 통화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통지 없이 전부 또는 일부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사용에는 별도의 사용약관과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이 서비스에 액세스하려면 때로는 사용자 등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 일부 온라인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추가 요금을 부과하거나 별도 구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과 사용 약관 및 온라인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검토하려면 www.adobe.com/kr을 방문하십시오.

CS4 Master Collection 시스템 요구 사항

Windows

  • DV의 경우 2GHz 이상의 프로세서, HDV의 경우 3.4GHz 프로세서, HD의 경우 듀얼 2.8GHz 프로세서*
  • Microsoft® Windows® XP 서비스 팩 2(서비스 팩 3 권장) 또는 Windows Vista® Home Premium, Business, Ultimate 또는 Enterprise 서비스 팩 1(32비트 인증 Windows XP 및 Windows Vista만 해당†)
  • 2GB RAM (여러 구성 요소를 실행할 경우 더 큰 용량의 RAM 권장)
  • 설치를 위한 24.3GB의 사용 가능한 하드 디스크 공간, 설치하는 동안 추가 여유 공간 필요(플래시 기반 저장 장치에는 설치할 수 없음)
  • OpenGL 2.0 호환 비디오 카드가 장착된 1,280x900 디스플레이
  • 일부 GPU 가속 기능에는 Shader Model 3.0에 대한 그래픽 지원 필요
  • DV 및 HDV 편집을 위한 전용 7200RPM 하드 드라이브, HD용 스트라이프 디스크 어레이 스토리지(RAID 0), SCSI 디스크 하위 시스템 권장
  • SD/HD 워크플로의 경우 캡처 및 테이프로 내보내기를 위한 Adobe 인증 카드
  • DV 및 HDV 캡처, 테이프로 내보내기 및 DV 장치로 전송을 위한 OHCI 호환 IEEE 1394 포트
  • DVD-ROM 드라이브(DVD 생성 시 DVD+-R 버너 필요)
  • 블루레이 디스크 생성 시 블루레이 버너 필요
  • Microsoft Windows Driver Model 또는 ASIO 호환 사운드 카드
  • QuickTime 및 멀티미디어 기능에 QuickTime 7.4.5 소프트웨어 필요
  • 온라인 서비스 이용 시 광대역 인터넷 연결 필요‡

Windows 7 호환성

Mac OS

  • Multicore Intel® 프로세서
  • Mac OS X v10.4.11–10.5.4
  • Adobe® Version Cue® Server에 Java™ Runtime Environment 1.5 필요
  • 2GB RAM (여러 구성 요소를 실행할 경우 더 큰 용량의 RAM 권장)
  • 설치를 위한 26.3GB의 하드 디스크 여유 공간(설치 시 추가 하드 디스크 공간 필요)(대소문자를 구분하는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볼륨 또는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이동식 디스크에 설치할 수 없음)
  • OpenGL 2.0 호환 비디오 카드가 장착된 1,280x900 디스플레이
  • 일부 GPU 가속 기능에는 Shader Model 3.0에 대한 그래픽 지원 필요
  • DV 및 HDV 편집을 위한 전용 7200RPM 하드 드라이브, HD용 스트라이프 디스크 어레이 스토리지(RAID 0), SCSI 디스크 하위 시스템 권장
  • DVD-ROM 드라이브(DVD 생성 시 SuperDrive 필요)
  • 블루레이 디스크 생성 시 블루레이 버너 필요
  • Core Audio 호환 사운드 카드
  • QuickTime 및 멀티미디어 기능에 QuickTime 7.4.5 소프트웨어 필요
  • 온라인 서비스 이용 시 광대역 인터넷 연결 필요‡

Snow Leopard 호환성

*AMD 시스템의 경우 SSE2 사용 프로세서 필요.

†Adobe Photoshop® Extended 및 Acrobat® Pro에서는 Windows Vista의 64비트 버전을 기본적으로 지원합니다. Adobe Premiere® Pro, After Effects®, Soundbooth®, Encore® 및 Adobe OnLocation™은 64비트 Windows Vista에서 인증되었습니다. 

‡고속 인터넷 연결이 있는 경우 이 제품은 온라인에서 호스트되는 특정 기능("온라인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와 일부 관련 기능은 모든 국가에서 모든 언어로 이용하거나 모든 통화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통지 없이 전부 또는 일부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사용에는 별도의 사용약관과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이 서비스에 액세스하려면 때로는 사용자 등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 일부 온라인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추가 요금을 부과하거나 별도 구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과 사용 약관 및 온라인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검토하려면 www.adobe.com/kr을 방문하십시오.

CS3 Master Collection 시스템 요구 사항

Windows

  • Intel Pentium 4(DV용 1.4GHz 프로세서, HDV용 3.4GHz 프로세서), Intel Centrino, Intel Xeon(HD용 듀얼 2.8GHz 프로세서) 또는 Intel Core Duo(또는 호환) 프로세서, AMD 시스템에 필요한 SSE2 지원 프로세서
  • Microsoft Windows XP 서비스 팩 2 또는 Windows Vista Home Premium, Business, Ultimate 또는 Enterprise(32비트 버전용으로 인증됨)
  • DV용 1GB RAM, HDV 및 HD용 2GB RAM, 여러 구성 요소 실행 시 추가 RAM 권장
  • 모든 핵심 구성 요소 설치하려면 22GB의 사용 가능한 하드 디스크 공간(설치 중 최대 1GB의 추가적인 여유 공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설치 선택 구성 요소에는 더 적은 공간 필요
  • DV 및 HDV 편집을 위한 전용 7,200RPM 하드 드라이브, HD용 스트라이프 디스크 어레이 스토리지(RAID 0), SCSI 디스크 하위 시스템 권장
  • Microsoft DirectX 또는 ASIO 호환 가능 사운드 카드
  • 32비트 비디오 카드가 장착된 1,280x1,024 모니터 해상도, GPU 가속화 재생용의 Adobe 권장 비디오 카드
  • Adobe Photoshop CS3 Extended에 있는 일부 3D 기능에서는 64MB 이상의 VRAM을 사용하는 Microsoft DirectX 9 가능 비디오 카드, OpenGL 지원, Adobe After Effects 지원 OpenGL 2.0 카드(NVIDIA 권장)를 필요로 합니다.
  • SD/HD 워크플로의 경우 캡처 및 테이프로 내보내기를 위한 Adobe 인증 카드
  • DVD-ROM 드라이브
  • 블루레이 디스크 생성 시 블루레이 버너 필요
  • DVD 생성 시 DVD+-R 버너 필요
  • DV 및 HDV 캡처, 테이프로 내보내기 및 DV 장치로 전송을 위한 OHCI 호환 IEEE 1394 포트
  • QuickTime 기능 사용 시 QuickTime 7.1.5 소프트웨어 필요
  • 제품 활성화 시 인터넷 또는 전화 연결 필요
  • Adobe Stock Photos* 및 기타 서비스 사용에 광대역 인터넷 연결 필요

Mac OS

  • PowerPC G4 또는 G5 또는 멀티코어 Intel 프로세서 (Adobe Premiere Pro, Encore 및 Soundbooth를 사용하려면 멀티코어 Intel 프로세서가 있어야 합니다. Adobe OnLocation CS3는 Windows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Boot Camp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ac OS X v10.4.910.5(Leopard)
  • DV용 1GB RAM, HDV 및 HD용 2GB RAM, 여러 구성 요소 실행 시 추가 RAM 권장
  • 모든 핵심 구성 요소 설치하려면 25.5GB의 사용 가능한 하드 디스크 공간(설치 중 최대 1GB의 여유 공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설치 선택 구성 요소에는 더 적은 공간 필요
  • DV 및 HDV 편집을 위한 전용 7,200RPM 하드 드라이브, HD용 스트라이프 디스크 어레이 스토리지(RAID 0), SCSI 디스크 하위 시스템 권장
  • Core Audio 호환 사운드 카드
  • 32비트 비디오 카드가 장착된 1,280x1,024 모니터 해상도, GPU 가속화 재생용의 Adobe 권장 비디오 카드
  • OpenGL 지원용: Photoshop CS 3 Extended에 있는 일부 3D 기능에서는 64MB 이상의 VRAM을 사용하는 OpenGL 1.4 가능 비디오 카드, Adobe After Effects 지원 OpenGL 2.0 카드(NVIDIA 권장)를 필요로 합니다.
  • DVD-ROM 드라이브
  • 블루레이 디스크 생성 시 블루레이 버너 필요
  • DVD 생성 시 SuperDrive 필요
  • QuickTime 기능 사용 시 QuickTime 7.1.5 소프트웨어 필요
  • 제품 활성화 시 인터넷 또는 전화 연결 필요
  • Adobe Stock Photos* 및 기타 서비스에 필요한 광대역 인터넷 연결

*Adobe Stock Photos 및 Adobe Connect를 포함한(단, 여기에 제한되지 않음) 온라인 서비스는 일부 국가, 언어 및 통화의 경우 사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가용성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사용에는 약관과 별도의 계약이 적용되며, 추가적인 요금을 부담할 수 있습니다.


:


ProductPlatformDownloadsSerial number
Creative Suite 2MacCS2_install_Mac.pdf1130-0412-8377-1896-9751-5759
CS_20_IE_NonRet_D1.dmg.bin
CS_20_IE_NonRet_D2.dmg.bin
CS_20_IE_NonRet_D3.dmg.bin
VCS2.dmg
CS_2.0_IE_Extras_1.dmg.bin
 WinCS2_install_Win.pdf1130-1414-7569-4457-6613-5551
CreativeSuiteCS2Disc1.exe
CreativeSuiteCS2Disc2.exe
CreativeSuiteCS2Disc3.exe
VCS2.zip
CS_2.0_WWE_Extras_1.exe
Acrobat 3D 1.0 for WindowsWinAC3D_1.0_Volume_NACK_WWE.zip1159-1414-7569-3493-5006-5653
Acrobat Standard 7.0Win22001904.exe1016-1415-6379-6184-1333-2468
Acrobat Pro 7.0Win22020134.exe1118-1414-8477-7606-6339-4141
After EffectsMacclamchop-x244-install.dmg1063-0418-7724-1551-7671-3039
Winclamchop-x244-install-oem.zip1063-1417-2474-8268-4115-9194
Audition 3.0WinADBEAudition_loopolgy.exe1137-1004-8571-6848-7845-8029
ADBEAudition_ESD1_WWEFGJIS.exe
ADBEAudition_loopolgy.7z
GoLive CS2MacGL_CS2_UE_NonRet.dmg.bin1033-0415-6162-2671-3431-0993
WinGL_CS2_UE_NonRet.exe1033-1418-1610-5696-5209-0095
Illustrator CS2MacAI_CS2_IE_NonRet.dmg.bin1034-0416-0740-0527-2887-2375
WinAI_CS2_IE_NonRet.exe1034-1415-6230-2341-2884-9398
InCopy CS2MacIC_CS2_UE_NonRet.dmg.bin1036-0414-4367-5110-5897-2432
WinIC_CS2_UE_NonRet.exe1036-1419-3531-6378-2148-9313
InDesign CS2MacID_CS2_UE_NonRet.dmg1037-0413-9961-4063-8457-1098
WinID_CS2_UE_NonRet.exe1037-1412-5094-8316-6812-7982
Photoshop CS2MacPhSp_CS2_English.dmg.bin1045-0410-5403-3188-5429-0639
WinPhSp_CS2_English.exe1045-1412-5685-1654-6343-1431
Adobe Premiere Pro 2.0WinPPRO_2.0_Ret-NH_UE.zip1132-1280-4900-7476-5108-8019


:












다운로드는 http://www.macrium.com에서 하시면 됩니다.

 

 

설명: C:\Users\흑풍돌풍\Downloads\Quiet!    운영체제(OS)까지 복사하는 하드복사 프로그램 [Macrium Reflect]_files\2260E14E532BDDF716BC09

많은 분들이 쓰시는 MiniTool Partition Wzard입니다.

Disk1  Disk2 복사하려고 하는데요. C드라이브는 물로 Recovery드라이브와 D드라이브도 보이시죠. 이게 몽땅 한꺼번에 복사가 됩니다.

 

 

 

설명: C:\Users\흑풍돌풍\Downloads\Quiet!    운영체제(OS)까지 복사하는 하드복사 프로그램 [Macrium Reflect]_files\2277DD4E532BDF471346D5

Macrium Reflect 실행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하드복사를 하시려면

1. 빨간 칸에 있는 Clone this disk 클릭합니다

 

 

설명: C:\Users\흑풍돌풍\Downloads\Quiet!    운영체제(OS)까지 복사하는 하드복사 프로그램 [Macrium Reflect]_files\241AA93E532BFD442BB2A4

2. Select a disk to clone to... 클릭합니다.

 

 

설명: C:\Users\흑풍돌풍\Downloads\Quiet!    운영체제(OS)까지 복사하는 하드복사 프로그램 [Macrium Reflect]_files\2366AD46532BFDB7043BE4

3. 대로 복사하시려면 Next 클릭합니다.

    - 복사가 필요없는 드라이브는 V체크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설명: C:\Users\흑풍돌풍\Downloads\Quiet!    운영체제(OS)까지 복사하는 하드복사 프로그램 [Macrium Reflect]_files\235CC343532BFE41103250

4. 위와 같이 Clone창이 뜨면 Finish 클릭합니다.

 

 

설명: C:\Users\흑풍돌풍\Downloads\Quiet!    운영체제(OS)까지 복사하는 하드복사 프로그램 [Macrium Reflect]_files\24279944532BFE900236AB

5. 위와 같이  Confirm Overwrite창이 뜨면 Continue 클릭합니다.

 

 

설명: C:\Users\흑풍돌풍\Downloads\Quiet!    운영체제(OS)까지 복사하는 하드복사 프로그램 [Macrium Reflect]_files\22474A40532BFF082BD7E6

6. 복사가 진행됩니다.

    모든 작업이 완료된  위와 같이  뜨면 정상적으로 복사완료가 것입니다.
    Clone Completed in 00:11:32
하드사용량이 적은것도 있지만 그래도 속도가 빠른편
   
입니다.

 

 

 

설명: C:\Users\흑풍돌풍\Downloads\Quiet!    운영체제(OS)까지 복사하는 하드복사 프로그램 [Macrium Reflect]_files\22031E42532BFFC72C4515

7. 같이 복사가 것을 확인 있습니다.

    다만, 대상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작은 관계로 D드라이브 용량이 줄어들었네요.

    당연한 거겠죠?   ^^;;

 

 

 

설명: C:\Users\흑풍돌풍\Downloads\Quiet!    운영체제(OS)까지 복사하는 하드복사 프로그램 [Macrium Reflect]_files\25710744532C006E2299D1

8. MiniTool Partition Wzard에서 확인한 그림입니다.

   Disk1(원본) Disk2(대상) 쌍둥이 같죠?

 

 

이상 간단히 Macrium Reflect 사용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기존에 쓰던 하드를 SSD하드로 교체하시거나 아니면 큰용량으로 교체하실때 현재 사용하고 계시는 환경을 그대로 편리하게 복사하실때 하번 사용해보시면 좋을 같습니다.

 

만약에 작업을 거치지 않았다면 Windows OS 설치하는데 몇시간을 걸렸겠죠?

그러한  Macrium Reflect 사용하면 11분이면 모든 작업 완료!

'궁금한점 > 컴퓨터가 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도비 cs3~cs5 시스템 요구사항  (0) 2017.09.21
adobe cs2 다운받기  (0) 2017.09.21
블루투스에 대해  (0) 2014.08.14
와이파이란?  (0) 2014.08.14
유튜브 장면찾기 기능  (0) 2014.06.29
:

블루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OSI/IP 모델
7. 응용 계층
NNTP  · SIP  · SSI  · DNS  · FTP  · 고퍼  · HTTP  · NFS  · NTP  · SMPP  · SMTP  · DHCP  · SNMP  · 텔넷  · (더 보기)
6. 표현 계층
MIME  · XDR  · TLS  · SSL
5. 세션 계층
지명 파이프  · NetBIOS  · SAP  · SIP
4. 전송 계층
TCP  · UDP  · SCTP  · DCCP
3. 네트워크 계층
IP  · ICMP  · IPsec  · IGMP  · IPX  · 애플토크
2. 데이터 링크 계층
ARP  · CSLIP  · SLIP  · 이더넷  · 프레임 릴레이  · ITU-T G.hn DLL  · L2TP  · PPP  · PPTP
1. 물리 계층

RS-232  · RS-449  · RS-485  · V.35  · V.34  · I.430  ·

I.431  · T1  · E1  · POTS  · SONET/SDH  · OTN  · DSL  · 802.11a/b/g/n PHY  · ITU-T G.hn PHY  · 이더넷  · USB  · 블루투스

v  d  e  h

블루투스 로고

블루투스(영어: Bluetooth)는 1994년 에릭슨이 최초로 개발한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PANs)을 위한 산업 표준이다. 블루투스는 나중에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가 정식화하였고, 1999년 5월 20일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블루투스 SIG에는 소니 에릭슨, IBM, 노키아, 도시바가 참여하였다. 블루투스라는 이름은 덴마크의 국왕 헤럴드 블라트란트를 영어식으로 바꾼것이다. 제안을 한 사람은 Jim Kardach인데, 계기는 Frans Gunnar Bengtsson의 바이킹과 헤럴드 블라트란트의 관한 역사 소설 The Long Ships를 읽고 있어서 제안했다. 블루투스가 스칸디나비아를 통일한것처럼 무선통신도 블루투스로 통일하자는 의미인 것이다.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는 블루투스는 PANs(Personal Area Networks)의 산업 표준이다. 블루투스는 다양한 기기들이 안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전 세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블루투스는 ISM 대역인 2.45GHz를 사용한다. 버전 1.1과 1.2의 경우 속도가 723.1kbps에 달하며, 버전 2.0의 경우 EDR(Enhanced Data Rate)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통해 2.1M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블루투스는 유선 USB를 대체하는 개념이며, 와이파이(Wi-Fi)는 이더넷(Ethernet) 을 대체하는 개념이다. 암호화에는 SAFER(Secure And Fast Encryption Routine)+을 사용한다. 장치끼리 믿음직한 연결을 성립하려면 키워드를 이용한 페어링(pairing)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이 없는 경우도 있다.

사양과 특징

블루투스 1.0과 1.0B

1.0과 1.0B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제조사들이 그들의 제품 간의 상호 호환성을 가지게 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1.0과 1.0B는 또한 핸드셰이킹 과정에서 블루투스 하드웨어 장치 주소(BD_ADDR)를 반드시 전송해야 하므로 프로토콜 수준에서의 익명(IP와 같은 주소 없이)의 연결(rendering anonymity)을 할 수 없었는데, 이는 블루투스 환경에서 제공 되도록 계획한 소비확대정책(Consumerium)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큰 제한사항이었다. 블루투스는 2.4G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무선 랜(802.11b/g)도 2.4G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동시사용에 따른 충돌은 피할 수 없다. 양 제품의 초기 보급 시에는 그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하지만 블루투스의 버전업과 연결 특성 상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블루투스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비어있는 채널을 찾아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간섭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즉시 다른 빈 곳으로 전송하게 된다. 음성기기의 사용 시 아주 잠깐의 지연현상이 발생하지만 체감하기 어렵다. 하지만 두 기기의 거리가 1cm 이하로 근접해 있을 경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무선랜과 블루투스 두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기기의 경우에는 두 장비가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게 되는데, 서로 번갈아가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애초부터 그 간섭을 최대한 줄이게끔 되어 있다.

블루투스 1.1

2002년 802.15.1 IEEE 표준으로 승인되었고, 1.0B의 많은 문제점들을 수정하였다. 이 외에 비 암호화 채널(non-encrypted channels)을 지원하였고,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수신 받을 수 있게된다.

블루투스 1.2

이 버전은 1.1 버전과 호환되며 주요 향상 점은 다음과 같다: 빠른 접속과 가까운 거리에서의 주파수 간섭 및, 먼 거리에서의 분산스펙트럼(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에 대비하였다. 실제 전송 속도는 1.1과 같은 723kbit/s이다. 패킷의 오류나 재전송에 따른 음성이나 음원신호의 quality손실을 막는 Extended Synchronous Connections (eSCO)를 지원하게 되었고, three-wire UART를 위한 Host Controller Interface (HCI)를 지원하게 되었다. 2005년 802.15.1 IEEE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블루투스 2.0 + EDR

2004년 10월에 표준화가 된 이 버전은 1.1과 호환되게 하였다. 주된 향상 점은 3.0Mbit/s의 향상된 데이터 속도(Enhanced Data Rate, EDR)를 지원하게 된 점이다. 이로써 다음의 효과를 가지게 되었다 : 평균 3배, 최대 10배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Transfer Rate) 향상(실제 전송 속도 2.1Mbit/s)과 Duty Cycle감소에 의한 저 전력 소비, 또한 multi-link scenarios의 단순화로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이 늘어났다. 이론상의 전송 속도는 3.0Mbit/s이고, 실제 data전송 속도는 2.1Mbit/s이다. Special Interest Group (SIG)에 표준화가 된 "블루투스 2.0 + EDR"은 많은 업체들이 사용하는 EDR과 표준화되지 않은 "블루투스 2.0"를 포함한다. 앞에 명시된 기술을 보여주는 HTC TyTN pocket PC phone과 다른 블루투스 2.0 without EDR의 기술은 추가적인 문제점들을 수정한 버전 1.2와 거의 같다. 많은 제품들이블루투스 2.0을 지원한다고 명시하지만 실제로 EDR을 지원하는지는 명확하게 표기하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블루투스 2.1 + EDR

1.2버전과 완벽하게 호환이 되는 핵심 표준화 버전인 블루투스 2.1은 블루투스 SIG에 의해 2007년 7월26일 채택되었다. 이 기술은 다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확장된 질의 응답: 장치들을 연결하기 전에 좀 더 나은 장치를 걸러내기 위해 질의 과정동안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에는 장치의 이름, 장치가 지원하는 서비스 목록, 날짜나 시간, 공유정보와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 스니프 서브레이팅(Sniff subrating) 기술: 저 전력 모드일 경우, 특히 비대칭 전송(asymmetric data flows)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들이 가장 이익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적어도 3배에서 최대 10배까지 배터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 부호화 일시 중지/재개(Encryption Pause Resume): 암호를 다시 설정했을 경우, 장치 간에 더욱 강력한 암호화로 최소 23.3시간 이상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안전하고 간편한 공유: 보안의 강화와 사용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블루투스 장치 간의 공유 기술이 근본적으로 향상되었다. 이것은 앞으로의 블루투스의 사용에 있어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NFC 코퍼레이션: NFC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면 자동적으로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수 센티미터 이내로 헤드셋을 NFC를 포함한 블루투스 2.1 전화로 가져가기만 하여도 접속할 수 있게 되고 또 다른 예로는,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디지털 액자에 가깝게 가져가는 것만으로 디지털 사진을 디지털 액자로 업로드할 수 있게 된다.

블루투스 3.0 + HS

블루투스 3.0은 2009년 4월 21일에 발표되었다. 블루투스 3.0의 큰 특징은 802.11 PAL(Protocol Adaptation Layer)를 채용해서 속도를 최대 24Mbps로 향상시켰다. (+HS 가 붙어있지 않은 제품에서는 이와 같은 High Speed 연결을 지원하지 않으며 3.0에서 추가된 기능만을 지원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기기간에 대용량 그림, 동영상, 파일을 주고받게 되었다. PC를 모바일 기기와 동기화를 할 수 있고 프린터나 PC로 많은 사진을 내려받을 수 있다. 추가된 점으로 내장된 전력 관리 기능을 통해 전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블루투스 4.0

블루투스 SIG는 클래식 블루투스와 블루투스 하이 스피드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를 포함한 기능을 가진 블루투스 4.0을 발표하였다. 블루투스 하이 스피드는 와이파이 기반으로, 클래식 블루투스는 기존의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다. 2010년 6월 30일에 채택되었다.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약어: BLE)은 블루투스 v4.0에 포함된 간단한 연결을 빠르게 만들기 위한 완전히 새로운 프로토콜 스택이다. 2011년 말, 호스트를 위한 "Bluetooth Smart Ready" 와 센서를 위한 "Bluetooth Smart" 가 블루투스 저전력(BLE)의 새 로고로써 선보였다.

  • 싱글 모드 구현에선 저전력 프로토콜 스택이 단독적으로 구현된다.
  • 듀얼 모드 구현에선 저전력 기능이 기존의 블루투스 컨트롤러에 통합된다.
  • Bluetooth SMART는 블루투스 저전력 전용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배터리로 동작하는 센서에서 사용된다. 동작에 SMART Ready 또는 다른 SMART 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최대 도달 거리가 50M 이다.
  • Bluetooth SMART Ready 는 듀얼 모드 장치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에서 사용된다. 기존의 블루투스와 블루투스 저전력 장치를 둘다 사용한다.

블루투스 4.1

블루투스 SIG는 2013년 12월 블루투스 4.1의 새로운 기능을 발표했다[1]. 블루투스 4.1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공존성(coexistence) 향상- 블루투스와 LTE 무선이 서로 통신 상태를 조정해 가까운 대역폭으로 인한 간섭 현상을 줄여준다.
  • 더 나은 연결(better connections)- 블루투스 연결 장치끼리의 거리가 증가해 잠시 연결이 끊어지게 되면, 4.1 블루투스 장치는 거리 내로 되돌아올 시 자동으로 재연결된다.
  • 데이터 전송 개선(improved data transfer)-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악세서리 장치(헬스 기구) 등과의 통신 전송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였다.
  • 개발자에게 더 많은 유연성 제공(more flexibility to developers)- 앞으로 있을 웨어러블 기기 붐에 대비한 업데이트로,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가 스마트폰의 주변장치이자 동시에 다른 장치와의 허브 역할도 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장래를 위해 사물 인터넷(The Internet of Things)을 위한 새로운 IPV6 사용 표준도 들어가 있다.


:

와이파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와이파이 로고

와이파이(Wi-Fi)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의 상표명으로,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와이파이 P2P),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처음의 와이파이는 사실상 IEEE 802.11과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나, 현재 와이파이는 802.11 기반의 많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포함하며, 802.11에서 지원되나 와이파이에서 쓰이지 않는 기술도 있으므로 둘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와이파이 통신은 기본적으로 인터넷에 데이터를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하는 AP(액세스 포인트)와 노트북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 단말간의 통신이다. 와이파이를 이용하려면 단말에 연결하기 위한 하드웨어 (무선 랜카드)가 있어야 하며, 운영 체제에서 해당 무선랜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드라이버가 설치되어야 한다.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이동이 많이 이루어지는 단말에는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어 사용자는 별다른 설정 없이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데스크톱 사용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근래에 들어 선 없이 인터넷이나 상호간 통신이 가능한 장점 때문에 게임기, 프린터, TV 등 다양한 주변 기기들에서도 와이파이를 지원하고 지원하는 단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제약 사항은 IEEE 802.11에 기술되어 있으며, 와이파이에서는 802.11 기반의 연결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다룬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와이파이(Wi-Fi)의 순화말을 '근거리 무선망'이라고 정했다. 하지만 와이파이는 근거리 무선의 일종이지 총체가 아니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적절한 순화라고 할 수 없다.[출처 필요]

어원

와이파이(Wi-Fi)는 와이어리스 피델리티(Wireless Fidelity)를 암시한다. 이것은 고성능 오디오 기기를 뜻하는 용어인 하이파이(Hi-Fi, High Fidelity)와 비슷하다. 실제로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문서들에서 와이어리스 피델리티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그러나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창단 멤버 중 하나인 필 벨랑어에 의하면, 공식적으로 와이파이의 뜻은 정해진 적이 없다.

이용

현대의 노트북 컴퓨터나 포켓 컴퓨터나 넷북에는 무선 랜을 대부분 장착하고 있으므로 무선접속장치(AP) 범위 이내에서는 와이브로를 이용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와이파이 수신을 통해 이동통신사의 추가 데이터 과금 없이 무선 인터넷을 즐길 수 있다.

목적

와이파이의 목적은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매체, 스트림에 무선 접근을 사용하여 복잡함을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와이파이의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다.[출처 필요]

  • 정보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 호환성, 장치와의 공존을 보장한다.
  • 케이블과 선을 제거한다.
  • 스위치, 어댑터, 플러그, 핀, 단자를 제거한다.

단점

이 문단의 내용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주석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와 이파이는 3G망에 비해 무선 인터넷 속도가 빠르지만 무선 인터넷을 가능하게 해주는 AP(Access Point) 근처에서만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AP가 가능하게 해주는 무선 인터넷 범위는 크게 넓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무선 인터넷을 즐기려면 곳곳에 AP가 많이 설치되어있어야 한다. 그렇다고 AP를 무분별하게 설치하면 근처의 AP 전파가 간섭현상을 일으켜 무선 인터넷 속도가 느려진다. 와이파이는 3G 망과 같은 이동성(Mobility)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끊김 없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한 AP에서 다른 AP로의 전환시에는 이전 AP로부터 접속 종료 후 새로운 AP로 접속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때 TCP와 같은 접속 지향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은 단절된다.

국가별 현황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대한민국

대 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와이파이는 사용환경에 따라 가정용, 핫스팟용, 기업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정용의 경우 댁내 환경으로 사설 공유기 업체를 통하여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007년 대한민국 통신사 중 최초로 LG U+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통신사 주도의 가정용 와이파이가 시작되었으며 2011년 현재 200만 이상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핫스팟의 경우 2010년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KT가 주도적으로 와이파이 존을 설치하고 있으며, 전국에 2만 8천 개의 KT '올레 와이파이 존'(또는 '쿡앤쇼 와이파이 존')이 설치되어 있다. KT는 2011년 12월 15일 기준으로 94,457개이며, 2011년 말까지 10만 개의 와이파이 존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는 미국 전체에 개설된 것보다 많은 숫자이다.[1][2] KT에서는 와이파이를 무료 무선 인터넷이라는 뜻으로 적극 홍보하고 있어[3] 많은 사람들이 와이파이의 뜻을 오해하고 있다. SK텔레콤에서도 꾸준히 개방형 'T 와이파이 존'을 설치하고 있으며, LG유플러스에 서는 U+ zone 설치, 와이파이 개방과 함께 사유 AP를 개방하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으나 LG유플러스 인터넷, 전화 가입자가 개방 동의해야 한다. 현재 대한민국에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가장 많이 보유한 곳은 KT이고, SK텔레콤에서는 자사 와이파이존을 다른 이동통신사 사용자에게도 개방하였었지만 2011년 7월 1일부터 자사 가입자만 이용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 KT는 와이파이존을 자사 가입자 중 i형 요금제와 lte요금제 및 일정 데이터형 부가서비스 요금제 사용시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같이 보기


:

http://blog.naver.com/kwshop88/220043288263

'궁금한점 > 컴퓨터가 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투스에 대해  (0) 2014.08.14
와이파이란?  (0) 2014.08.14
[펌] Web Video Player  (0) 2014.04.16
[펌] CX640 CR640 A6407 USB로 부팅하는 방법  (0) 2014.04.16
월페이퍼 있는 곳  (0) 2014.03.01
:

원문

http://powerpoint.pe.kr/60210763241




유투브, 비메오 동영상을 파워포인트에 삽입하기 - Web Video Player  3rd Part Utilities 

2014/03/10 15:34

복사http://powerpoint.pe.kr/60210763241

전용뷰어 보기

​파워포인트 2010 부터 지원되던 유투브 동영상을 파워포인트에 쉽게 삽입하는 기능이 더 이상 지원되지 않고 있습니다.

유투브 동영상 삽입 방식이 변화되어서 그렇다는 답변이 있었는데, 유투브 동영상을 활용하여 발표 또는 강의 하는 분들에게는 좀 불편해졌습니다.


파워포인트 2013 버전에는 오피스 앱을 이용하는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었는데 달라진 파워포인트 2013의 기능들 (18) 오피스용 앱으로 제공되는 추가기능 - PowerPoint2013 New Features 이 기능 중 Web Video Player 라는 무료 앱을 통해서 유투브나 비메오 동영상을 파워포인트에 쉽게 삽입할 수 있습니다.


 


Web Video Player 다운로드 사이트 : http://office.microsoft.com/en-us/store/web-video-player-WA104221182.aspx

위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 Live 계정이 필요합니다.

 

1. 위 사이트 접속 후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접속합니다. (Hotmail.com, live.com, outlook.com 등)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없다면 http://goo.gl/PPlxEy를 통해서 무료 가입이 가능합니다.

 



3. 로그인이 되면 다음과 같이 설치완료 메시지가 표시되고 프로그램(앱) 실행에 대한 안내가 나타납니다.




4. 위 설명처럼 파워포인트 2013을 실행하고 [삽입]의 <내 앱>으로 이동하여  <Office용 앱> 창의 새로고침을 누르면 설치한Web Video Player 가 표시되며, 온라인 동영상 (유투브 또는 비메오)를 삽입할 준비가 완료됩니다. 

 



5. 유투브 동영상을 파워포인트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투브 사이트에서 원하는 동영상을 선택한 다음 유투브 동영상의 주소를 복사합니다.




6. 파워포인트 2013에서 [삽입], [내앱]을 선택하고 <Office용 앱> 창에서 Web Video Player를 차례로 선택한 다음, 파워포인트에서 삽입된 Web Video Player 창에 복사한 유투브 동영상 주소를 붙여넣기 합니다.


 

 

7. <Set Video> 버튼을 클릭하면 파워포인트에 유투브 동영상이 정상적으로 삽입이 됩니다.

 



유투브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파워포인트 2010 버전부터 자체적으로 제공되던 기능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어서 조금 불편했었는데 Web Video Player 기능을 이용하여 쉽게 온라인 동영상을 삽입할 수 있어 다행입니다.


[제한점]  

1. Web Video Player 기능을 이용한 온라인 동영상 삽입은 파워포인트 2013 버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Web Video Player 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삽입 한 파워포인트 파일은 역시 파워포인트 2013 에서만 제대로 동작합니다.

파워포인트 2010과 2007 버전에서는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습니다.


 


'궁금한점 > 컴퓨터가 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투스에 대해  (0) 2014.08.14
와이파이란?  (0) 2014.08.14
유튜브 장면찾기 기능  (0) 2014.06.29
[펌] CX640 CR640 A6407 USB로 부팅하는 방법  (0) 2014.04.16
월페이퍼 있는 곳  (0) 2014.03.01
:

원문

http://www.msikorea.kr/board/index.html?imode=view&D=32&c_id=11852&seq=&my_mode=&search_1=&search_2=&start=0&entire=&menu=





CX640 CR640 A6407 에서 USB로 부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컴퓨터를 켜신 후에 del키를 눌러서 CMOS로 들어가신 후 네번째 탭 Boot로 들어갑니다.
첫번째 Fast Boot 메뉴의 설정을 Disable로 변경합니다.



그 다음 네번째 PXE Boot 메뉴의 옵션을 Enable로 변경합니다.



그 다음 Save & Exit 탭으로 이동합니다.
두번째 메뉴의  Save Changes and Reset을 선택한 후 Enter키를 누르고 변경한 옵션설정을 저장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옵션 변경 사항을 저장한 후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MSI로고가 보이면 이때  F11을 누르고
부팅 메뉴 중에서 부팅 가능한 고객님의 USB devive를 선택하여 부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재부팅전에 미리 고객님의 USB를 꼽아 주십시요)

'궁금한점 > 컴퓨터가 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투스에 대해  (0) 2014.08.14
와이파이란?  (0) 2014.08.14
유튜브 장면찾기 기능  (0) 2014.06.29
[펌] Web Video Player  (0) 2014.04.16
월페이퍼 있는 곳  (0) 2014.03.01
:

http://hdw.zebrapp.com/

'궁금한점 > 컴퓨터가 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투스에 대해  (0) 2014.08.14
와이파이란?  (0) 2014.08.14
유튜브 장면찾기 기능  (0) 2014.06.29
[펌] Web Video Player  (0) 2014.04.16
[펌] CX640 CR640 A6407 USB로 부팅하는 방법  (0) 2014.04.16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2)
AI 이미지 (62)
중국음악이 궁금해~ (6)
자격증 (3)
핸드폰정보 (10)
궁금한점 (22)
수화배우기 (4)
민원관련 (1)
컴퓨터가 궁금해~ (9)
놀이가 궁금해~ (3)
엑셀기초 (5)

공지사항